스프링이 기술스택으로 쓰이는 회사에 면접준비 중 전에 했던 내용을 복기하고자 진행했다.
인프런에서 김영한 님의 '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...' 강의를 들었고 블로그에 기록을 해두려고 한다.
IDE: IntelliJ Community Edition
Java : SE 11 버전 ( cmd에 java -version 으로 쳐서 11버전으로 나오면 진행X)
H2 : 2.1.214
https://start.spring.io/
버전을 위에처럼 한 이유는 start.spring.io 에서 강의에서처럼 2.3 버전이 없고 그나마 2버전에는 2.7이, 나머지는 3.0이랑 3.1버전이 있었기 때문이다.
찾아보니 3버전부터는 Java17이상과 호환이 된다고하고, 8버전의 지원 기간보다 17이 더 길다고 하고,, 스프링부트 3버전이 나온지 약 1년정도 되었다고 한다.
물론 내가 회사에서 새 프로젝트를 시작한다면 3버전을 사용했겠지만, 지금은 강의를 듣는 상태이고 이직을 하는 회사들도 대부분 JDK 1.8 스프링부트 2.x 환경일 확률이 더 크기 때문에 2버전을 사용한 뒤에 업그레이드를 하는 방법을 숙지를 해두는게 앞으로에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다.
예전에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하면서 depnedency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 힘들어가지고.. 그걸 떠올리며 디펜던시를 찾아보았다.
스프링홈페이지 -> 프로젝트 [스프링부트] -> Learn -> 사용버전의 Ref Doc. -> Dependency Versions 클릭하고 디펜던시를 확인하려는 라이브러리를 검색하면 버전이 명시되어 있다.
그래서 다음과 같이 세팅을 했다.
intelliJ 빌드 설정까지 gradle -> intelliJ 로 변경하고 실행하니..
실행이 잘되어서 기쁨 ^_^ 그러나 예전에 디펜던시 문제로 골머리 먹어서 뒤에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lutter] Error Handling Widget - 플러터 에러 핸들링하기 (2) | 2024.08.29 |
---|---|
electron + react 초기세팅 (0) | 2023.08.08 |
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mecab-ko, 우분투 환경에서 테스트하기 (0) | 2023.05.17 |
(HTTP)세션과 토큰의 차이 (0) | 2023.04.23 |
[node.js] mariaDB 연결 시 unknown plugin auth_gssapi_client 에러 (0) | 2023.04.17 |